네트워크 케이블이란?

네트워크 기초 2015. 4. 23. 09:00 Posted by 네트동자







Category 5E 케이블 부터 기가비트를 지원한다.

Category 5  는 기가비트지원 않함.


기가비트로 LAN을 설정하기 위해서는

기본 장치의 인프라 구축과 PC상에 점보프레임 구성이 따로 필요하다.




<여러 종류의 케이블>

10 Base FL : 10Mbps 광케이블, FL (Fiver-Optic 광케이블) 이라는 정보를 우리에게 준다.

               이 케이블은 ST 커넥터를 사용해서 연결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광케이블은 싱글모드, 또는 멀티모드 케이블을 사용한다.


10 Base 2 : 10Mbps, 최대 200m. (몇 년 전까지 이 케이블을 가장 많이 사무실에서 사용)

              그러나, UTP 케이블에 완전히 사라짐. BNC 커넥터 사용.


10 Base 5 : 10Mbps. 최대 500m (Thick 케이블, Yellow 케이블) 

              주로 백본 케이블, 

              즉 중앙망용으로 천장위에 설치하고 

             '트랜시버 케이블'을 이용해서 천장에서 하나씩 뽑아서 내린 다음에 

              PC의 랜카드와 연결했다.

      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랜카드 중에 AUI 인터페이스(15핀으로 생긴 사다리꼴 인터페이스)를 

              가진 것이 바로 이 케이블과 연결하기위한 인터페이스가 된다.


100 Base TX : Category 5 UTP 케이블을 사용. 최대거리 100m. 전송속도 100Mbps.


100 Base T2: 원래, 100Mbps 속도를 내려면 위처럼, Category 5 케이블을 사용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그런데, 100 Base T2 방식을 쓰면, Category 3,4,5 전부 사용해서 

               100M를 구현할 수 있다. 자주 쓰는 방식은 아님.


100 Base T4: Category 3케이블을 가지고 100Mbps 용으로 사용할 때 만드는 케이블.

                다른 케이블은 2페어 (4가닥)을 사용하지만, 

        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100 Base T4 케이블은 4페어 (8가닥)을 전부 사용한다는 점에서 

                차이가 있다.


100 Base FX : 100Mbps , 전송거리 2Km~10Km까지 가능.

                 SC라는 네모난 접속 커넥터를 이용해서 접속.

                 

1000 Base SX : 이것은 기가비트, 1000Mbps 속도.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short wavelen-gth 라는 광케이블을 사용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최대전송거리 (약 270m ~ 약 550m)


1000 Base T : 1000Mbps UTP (Unshielded Twitsted-Pair)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.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최대전송거리 (100m) Category 5 케이블을 사용하면 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국제규약에 의해 기가비트용 UTP 케이블이 Category 5 로 결정되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이렇게 구성하기 위해서 4페어(8가닥) 을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모두 사용한다는 사실도 기억하길 바란다. 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






'네트워크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 Layer - Physical Layer.  (0) 2015.04.25
OSI 7 Layer 외우기.  (0) 2015.04.25
OSI 7 Layer(계층)는 왜 만들어졌나?  (0) 2015.04.25
브로드캐스트,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  (0) 2015.04.24
MAC Address 란?  (0) 2015.04.24